반응형

프로그래밍 공부/컴퓨터공학 기초 16

쿠키(Cookie), 세션(Session), 토큰(Token)

용어 간단정리 인증 : 나는 누구인가 인가 : 나의 권한은 어디까지인가 https://wonuk.tistory.com/154 인증(Authentication)과 인가(Authorization)란 무엇인가? 용어정리 '인증'이란? 식별가능한 정보로 서비스에 등록된 유저의 신원을 입증하는 과정입니다. 예) 출입증으로 건물에 출입 할 수 있습니다. '인가'란?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자원 접근 권한 확 wonuk.tistory.com 쿠키, 세션, 토큰 쿠키, 세션, 토큰은 인증을 유지 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들어가기 앞서 HTTP에 대한 사전지식이 필요합니다. HTTP는 한번 통신하고나면 연결이 끝나는 비연결을 지향합니다.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인증의 인증수단을 이해하기..

인증(Authentication)과 인가(Authorization)란 무엇인가?

용어정리 '인증'이란? 식별가능한 정보로 서비스에 등록된 유저의 신원을 입증하는 과정입니다. 예) 출입증으로 건물에 출입 할 수 있습니다. '인가'란?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자원 접근 권한 확인입니다. 예) 출입증으로 건물에 출입한 후 자신의 회사에만 갈 수 있는것 (3층이 자신의 회사이고 4층이 다른 회사라면 3층에만 입장가능) 웹에서의 인증과 인가 간단한 게시판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해당 게시판에 글을 쓰고싶다면 회원가입, 로그인 과정을 거칩니다. -> 인증 이와 동시에 글을 쓸 수 있는 권한 획득합니다. -> 인가 포함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글을 읽을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글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 권한이 없기 때문입니다.(인가) 정리 인증과 인가는 자원을 적절한/유효한 사용자에게 전달..

TCP/IP, 3, 4Way HandShaking

인터넷 TCP/IP 설명에 앞서 인터넷이란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봅니다. 인터넷이란? '전 세계에 걸쳐 파일 전송 등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시스템' 우리는 실생활에서 인터넷에 가입을하고 사용합니다. 통신비용을 지불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사업자가 만들어 놓은 네트워크 인프라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왼쪽은 SK 브로드밴드의 자가망 보유현황이고 우측은 해외와 연결된 네트워크 망입니다. 해외와는 바다 밑에 광속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거대한 인프라를 통해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전달하고, 받은 디지털신호를 다시 데이터로 바꿔가면서 네트워크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OSI 7 Layer 관련 블로그 참조 https://wonuk.tistory.co..

Process와 Thread

용어정리 프로그램(Program) 어떤 작업을 위해 운영체제 위에서 실행할 수 있는 파일 ex) 웹 브라우저, 워드 프로세서, 카카오톡 등 프로세스(Process) 운영 체제 위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들이 메모리에 올라오고 실행 중 또는 실행 대기중인 상태 프로세서(Processor) 프로세스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CPU) 동작 프로그램의 자원들이 메모리에 올라오고, 실행 되어야 할 코드의 메모리 주소를 CPU의 레지스터로 올리는 것 실행 단위 - cpu core에서 실행하는 하나의 단위로 프로세스와 스레드를 포괄하는 개념 하나의 cpu core에 한순간에 한개씩 적재되는 것 실행 단위는 프로세스일 때도 있고 쓰레드 일 수도 있습니다. (부연 설명이 없는)프로세스 -..

XML, JSON, YAML이 무엇인가?

본 포스팅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55FrHTNjTCc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윈도우 메모장 그리고 Enter키가 없는 키보드가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를 보내는 상황을 가정해봅시다. 신문기사라면 단순히 길어지고, 장보기 목록 등은 쉼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표는 어떻게 보내지게 될까요 이와같이 어떠한 구조를 가진 정보에서 어려움이 시작됩니다. 이를 어떻게 한줄로 이어지는 텍스트로 만들 수 있을지 생각해봅시다. 여기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식이 XML과 JSON 입니다. 서비스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사이에는 수많은 정보들이 주고받아 집니다. 사람에게는 표와같은 구조로 데이터를 보내는것이 이해하기 쉽지만 컴퓨터에게는 한줄로 쭉이어진 텍스트로 받아지기..

OSI 7 Layer (계층)

본 포스팅은 유튜브 10분 테코톡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pfTxp25MA8 1계층 물리계층 (Physical Layer) 두 대의 컴퓨터가 통신하려면? 모든 파일과 프로그램은 0과 1의 나열입니다. 결국 0과 1만 주고받을 수 있으면 됩니다. 두 대의 컴퓨터를 전선 하나로 연결한다고 상상해봅시다. 1을 보낼 때는 +5V의 전기를 전선으로 흘려보내고 0을 보낼 때는 -5V의 전기를 전선으로 흘려보내면 0과 1의 전송이 가능할 것입니다. 0과 1을 주고받을 수 있으면 모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이제 두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선 잘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아래 그림으로 설명하겠습니다. 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