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그래밍 공부 59

Gradle의 도메인 객체 Project, Task, Gradle, Settings, 기타

Gradle의 모든 포스팅은 유튜브 프리렉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s-XZ5B15ZJ0&list=PL7mmuO705dG2pdxCYCCJeAgOeuQN1seZz 강의의 버전이 옛버전 이기 때문에 이론적인 부분만 학습하는것이 좋습니다. 1. Project 객체 Project 객체 : 프로젝트의 환경 구성, 의존관계, 태스크 등의 내용을 제어 및 참조 build.gradle 과 대응 Project 객체의 생명주기 - 빌드 수행을 위한 Settings 객체 생성 - settings.gradle 스크립트 파일이 있을 경우 Settings 객체 비교 - 구성된 Settings 객체를 이용하여 Project 객체의 계층 구조 생성 - 멀티 프로젝트..

바이트코드란? JVM이란? JIT컴파일러란? GC란? JVM 실행과정

학습 목표 JVM에 대하여 제대로 알기 자바 소스파일 .java를 JVM으로 실행하는 과정 살펴보기 목차 바이트코드란? JVM이란? JVM 구성요소 GC란?(링크참조) JIT 컴파일러란 무엇이며 어떻게 동작하는지 자바 소스파일(.java)을 JVM으로 실행 과정 컴파일 하는방법 컴파일 후 실행하는 방법 더 자세히 알아보기 바이너리코드와 바이트코드란 무엇인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은 컴퓨터이다. 즉,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작성되어 있어야 한다. 1) 바이너리 코드란? C언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소스파일(.c)이 목적파일(.obj)로 변환될 때 0과 1로 이루어진 바이너리코드로 변환된다. 즉, 컴파일 후에 이미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이진(바이너리)코드로 변환되는 것이다. 목적파일은 기..

Gradle의 태스크(task) 10. Gradle의 태스크 그래프

Gradle의 모든 포스팅은 유튜브 프리렉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s-XZ5B15ZJ0&list=PL7mmuO705dG2pdxCYCCJeAgOeuQN1seZz 강의의 버전이 옛버전 이기 때문에 이론적인 부분만 학습하는것이 좋습니다. 9. 그레이들의 태스크(task) 태스크의 기본 그레이들에서 태스크는 빌드를 수행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심이되는 빌드수행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task hello' 그레이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task 객체에 있는 속성을 이용하는 코드이다. 만약 Task를 정의하기 전에 속성값을 이용해서 사용하려고 한다면 badTask.description = 'Task Execution->' task badT..

빌드와 실행, Ant, Maven, Gradle 이란 무엇인가?

Gradle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기 전, 간단하게 정리하였습니다. Gradle에 대한 포스팅은 Gradle 카테고리에 올라갈 예정입니다. 간단한 이론만 정리한 포스팅이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됩니다. 빌드(build) 소스 코드 파일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독립 SW 가공물로 변환시키는 과정 빌드란 단순히 실행하는 것과 다르다 ※독립 SW 가공물 = Artifact 빌드의 세분화 소스 코드를 컴파일 한다 테스트 코드를 컴파일 한다 테스트 코드를 실행한다 테스트 코드 리포트를 작성한다 기타 추가 설정한 작업들을 진행한다(소나 큐브에 코드 정적분석을 맡기는 등) 패키징을 수행한다 최종 SW 결과물(Artifact)을 만들어 낸다 테스트 코드 : 사용하고 있는 비지니스 로직이 새로운 요구사항이 반영..

JDK, JRE, JVM은 무엇인가?

JVM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기 전, 관련된 JDK, JRE의 기본적인 부분까지 간단하게 정리하였습니다. JVM에 대한 포스팅은 후에 올라갈 예정입니다. 간단한 이론만 정리한 포스팅이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됩니다. 컴퓨터는 0과 1밖에 모른다. 그런데 어떻게 컴퓨터는 해당 코드를 실행할 수 있을까? public static void main(Stir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바로 이 코드가 0,1로 바뀐 다음에(컴파일) 그 바뀐 코드를 컴퓨터가 알아듣기 때문이다. 컴파일(compile) : 사람이 알아보는 코드를 컴퓨터가 알 수 있게 0,1로 바꿔준다. 여기서 0,1로 바뀐 코드를 바이트 코드(바이너리 코드)라고 한다 바이너리는 두가지의..

Gradle의 스크립트 파일, Gradle 실습준비 eclipse IDE

Gradle의 모든 포스팅은 유튜브 프리렉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s-XZ5B15ZJ0&list=PL7mmuO705dG2pdxCYCCJeAgOeuQN1seZz 7. 그레이들의 스크립트 파일(1) 그루비(Groovy) : http://groovy-lang.org/ The Apache Groovy programming language May 26-28, 2021 For the past 12 years, GR8Conf has provided a high-quality conference experience for the tight-knit Apache Groovy programming language community. This year, ..

빌드란?, Gradle의 빌드, Gradle의 빌드 수행

Gradle의 모든 포스팅은 유튜브 프리렉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s-XZ5B15ZJ0&list=PL7mmuO705dG2pdxCYCCJeAgOeuQN1seZz 강의의 버전이 옛버전 이기 때문에 이론적인 부분만 학습하는것이 좋습니다. Gradle VS Maven 정리 Maven Gradle Java를 사용하여 프로젝트 빌드 자동화에 주로 사용되는 압축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도구 Apache Ant 및 Apache Maven의 개념을 기반으로하는 오픈 소스 빌드 자동화 도구 Java로 작성 Java, Kotlin 및 Gradle로 작성됨 Gradle에 비해 Maven 성능이 느림 Gradle 빌드 시간은 짧고 빠름 Maven 스크립트는..

Gradle이란? , Gradle 설치, Gradle 과 Maven

Gradle의 모든 포스팅은 유튜브 프리렉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s-XZ5B15ZJ0&list=PL7mmuO705dG2pdxCYCCJeAgOeuQN1seZz 강의의 버전이 옛버전 이기 때문에 이론적인 부분만 학습하는것이 좋습니다. Gradle build를 수행하기 위한 build 시스템 또는 빌드 도구로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ant나 maven과 같은 도구이다. Gradle 이란? 빌드도구, 빌드 시스템, 빌드 툴과 같은 빌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하는 언어중에 하나이다. 그루비(Groovy)기반 - Java와 유사한 문법 구조로 학습에 용이하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DSL(Domain Specific Language) 제공 Gr..

JAVA중급강의 정리 람다식

본 포스팅은 프로그래머스 자바 중급 강의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자바 강의의 모든 내용이 적힌것이 아닌 복습시 놓쳤던 부분을 하나하나 정리한 내용입니다. JAVA8에서 새롭게 추가된 문법 람다식 람다식 람다식은 다른말로 익명 메소드라고도 한다. 인터페이스 중에서 메소드를 하나만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를 함수형 인터페이스라고 한다. 예를들어 쓰레드를 만들때 사용하는 Runnable 인터페이스의 경우 run()메소드를 하나만 가지고 있다. Runnable을 이용하여 쓰레드를 만드는 방법 public class LambdaExam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w Thread(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JAVA중급강의 정리 어노테이션, 쓰레드

본 포스팅은 프로그래머스 자바 중급 강의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자바 강의의 모든 내용이 적힌것이 아닌 복습시 놓쳤던 부분을 하나하나 정리한 내용입니다. 순서 어노테이션, Thread란?, Thread만들기, Thread와 공유객체, 동기화 메소드와 동기화 블록, Thread 상태제어 join, wait, notify 컴파일할때나 런타임 때 어노테이션에 적은 설정값대로 실행되게 하기위해서 사용한다. 어노테이션 실무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100퍼센트 확률 어노테이션은 Java5에 추가된 기능 어노테이션은 클래스나 메소드위에 붙습니다. @(at)기호로 이름이 시작합니다. ex) @Override 소스코드에 메타코드(추가정보)를 주는것 어노테이션을 클래스나 메타코드에 붙인 후, 클래스가 컴파일되거나 실행될 ..

반응형